UPDATED. 2025.08.18(월)

트럼프 '반도체 300% 관세' 엄포에 코스피 3,200선 붕괴

삼성전자·SK하이닉스 직격탄…외국인 매도세에 1.5% 급락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8-18 16:46:14

트럼프 '반도체 300% 관세' 엄포에 코스피 3,200선 붕괴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18일, 국내 증시가 트럼프 대통령의 반도체 관세 엄포와 국내 정책 불확실성에 동반 급락하며 코스피가 3,200포인트선을 다시 내줬다.

코스피는 전거래일 대비 48.19포인트(1.5%) 하락한 3,177.28에, 코스닥은 17.07포인트(2.11%) 급락한 798.05에 마감했다. 같은 날 아시아 주요국이 상승세를 보인 것과 대조적으로 한국 증시만 유독 취약한 모습을 보였다.

시장 하락을 주도한 것은 반도체 업종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르면 이번 주 품목별 관세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반도체에 200~300%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 큰 타격을 줬다. 이에 따라 반도체지수는 2.3% 급락했고, 대표 종목인 삼성전자는 2.2%, SK하이닉스는 3.3% 각각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한화에어로를 제외하고는 모두 하락하며 지수 하락을 견인했다.

외국인들도 한국 증시에 대한 우려를 표출했다. 이날 코스피에서 외국인은 5,415억원어치를 순매도했고, 코스닥에서도 437억원을 팔아치웠다. 반면 개인은 코스피와 코스닥에서 각각 3,575억원, 1,711억원을 순매수하며 하락장을 지탱했다.
반도체 외에도 철강 관세 50% 부과 범위가 초고압 변압기, 건설기계 등 407개 품목으로 확대되면서 관련 종목들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11.2%, HD현대일렉트릭은 5.6% 각각 급락했다.

다만 조선 업종은 상승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폭을 제한하는 역할을 했다. 삼성중공업(+2.1%)과 한화오션(+2.4%)이 강세를 보였다.

관세 못지않게 국내 정책 불확실성도 시장 부담으로 작용했다. 21일 임시국회 본회의에서 여당이 노란봉투법과 2차 상법 개정안 처리를 목표로 하고 있어 기업들의 경계감이 높아진 상황이다.

특히 같은 날 차관회의에서 논의될 세법개정안에서 5대 시중은행이 납부해야 할 교육세가 연 1조원 이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은행 지주사들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KB금융은 5.3%, 하나금융지주는 4.1% 각각 떨어졌다.

이날 국내 최초 대체거래소인 넥스트레이드가 자본시장법상 '15%룰' 적용을 피하기 위해 79개 종목의 거래를 일시중단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1차로 8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YG플러스 등 26개 종목이, 2차로 9월 1일부터 풀무원 등 53개 종목이 매매체결 대상에서 제외된다.

전반적인 하락장 속에서도 일부 업종은 개별 호재에 힘입어 강세를 보였다. 태양광 업종은 트럼프가 공개한 재생에너지 세액공제 요건이 예상보다 온건하다는 평가에 OCI홀딩스(+7.4%)와 한화솔루션(+1.3%)이 상승했다.
백신 업종도 빌 게이츠의 3년 만의 방한과 백신 보급사업 협업 기대감에 SK바이오사이언스(+3.1%)와 수젠텍(+4.9%)이 올랐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아시아 전반적 강세 중에 한국만 유독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관세 이슈와 함께 법·제도 관련 경계감도 대두되고 있어 당분간 시장의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주요 테마 중에서는 자전거, 백신여권, 웹툰, 조선기자재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했다. 향후 주요 일정으로는 미국 8월 NAHB 주택시장지수 발표와 팰로알토 네트웍스 등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7.28 ▼48.38
코스닥 798.05 ▼17.21
코스피200 429.19 ▼7.38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669,000 ▼71,000
비트코인캐시 789,500 ▲1,500
이더리움 5,992,000 ▲67,000
이더리움클래식 29,980 ▲330
리플 4,142 ▲12
퀀텀 2,877 ▲2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600,000 ▼97,000
이더리움 5,991,000 ▲66,000
이더리움클래식 29,940 ▲290
메탈 1,005 ▲4
리스크 546 ▲9
리플 4,143 ▲12
에이다 1,273 ▼3
스팀 18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680,000 ▼90,000
비트코인캐시 790,000 ▲2,000
이더리움 5,995,000 ▲65,000
이더리움클래식 29,960 ▲350
리플 4,140 ▲10
퀀텀 2,850 ▼12
이오타 27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