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19(화)

[간밤의 美친주식] UnitedHealth, 워런버핏 투자 결정에 급등

Intel, 미 정부 지분투자 검토 소식에 상승 ... Cava Group, 실적쇼크와 가이던스 하향에 급락

CP CP

2025-08-19 07:09:39

[글로벌에픽 CP] 1. UnitedHealth Group = 워런버핏 투자 결정에 11% 급등

버크셔 해서웨이가 14일 공개한 SEC 서류에의하면 올해 2분기 동안 유나이티드헬스 그룹 주식 500만주를 신규 매입해 약 16억 달러 규모의 지분을 확보했다. 이는버크셔 해서웨이 포트폴리오에서 18번째로 큰 보유 종목이 되었으며, 전체 3,000억 달러 규모 포트폴리오의 0.58%에 해당한다.

이번 투자는 버핏의 전형적인 '위기 매수' 전략을보여준다. 과거 2008년 금융위기 당시 골드만삭스에, 2020년 팬데믹 시기 항공주에 투자했던 것처럼, 시장이 절망할때 기회를 포착하는 그의 투자 철학이 다시 한번 빛을 발했다.

유나이티드헬스의 현재 주가수익비율(P/E)은 13배로, 10년 내 최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버핏은 이를 가치투자의 절호의기회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 인한 헬스케어 수요 증가와 유나이티드헬스의 시장 지배적지위를 고려할 때,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유나이티드헬스의 극적인 주가 반등은 시장의 단기적 감정과 기업의 장기적 가치가 얼마나 다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워런 버핏의 투자는 단순한 자금 투입을 넘어, 시장에 대한 강력한신뢰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물론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규제 리스크, 의료비 상승 압박, 사이버 보안 문제 등은 계속해서 회사의 발목을잡을 수 있다. 하지만 버핏의 투자는 이 모든 어려움을 뛰어넘는 유나이티드헬스의 근본적 가치와 장기적전망에 대한 확신을 보여준다.

2. Intel = 미 정부 지분투자 검토 소식에일주일 새 27% 상승

14일 블룸버그가 처음 보도한 바에 따르면 , 트럼프행정부는 칩스법(CHIPS Act) 자금을 활용해 인텔에 지분 투자를 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다. 이는 기존의 보조금이나 대출 형태가 아닌, 정부가 직접 기업의 지분을보유하는 형태로서 미국 정부의 산업 정책에 있어 획기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현재 인텔은 칩스법을 통해 상업용 반도체 생산을 위한 79억 달러의 보조금과 국방부 보안엔클레이브 프로그램을 위한 최대 30억 달러를 지원받기로 되어 있다. 또한 110억 달러 규모의 대출에도 접근할 수 있다. 정부는이러한 기존 지원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분 투자로 전환하거나, 새로운 자금과 결합하는 방안을 고려하고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논의는 8월 11일 립부 탄(Lip-Bu Tan) 인텔 CEO가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난직후 본격화되었다. 흥미롭게도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전 탄 CEO의중국과의 연관성을 문제 삼으며 즉각적인 사임을 요구했었다. 하지만 회담 후 태도를 바꿔 탄 CEO의 성공 스토리를 "놀라운 이야기"라고 평가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인텔 측도 이번 회담을 "솔직하고 건설적"이라고평가하며, "미국의 기술 및 제조업 리더십 강화"에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인텔에 대한 미국 정부의 지분 투자 검토는 단순한 기업 구제를 넘어서는 의미를 갖는다. 이는반도체 산업에서의 미국의 기술적 독립성과 국가 안보를 확보하려는 포괄적인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투자가 실현된다면, 인텔은 단순한 반도체 회사를 넘어 미국의 지정학적 전략에서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기업으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정부 지원이 인텔의 재도약과미국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회복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3. Eli Lilly = 신약 성과와 약가 정책으로 투자자 관심

핵심 제품인 마운자로(Mounjaro)와 젭바운드(Zepbound)가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젭바운드의 경우 33억 8천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72%라는 폭발적인 성장을 보였다.

회사의 파이프라인 진전도 주가 상승에 기여했다. 특히 경구용 비만 치료제 오르포글리프론(orforglipron)의 3상 임상시험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최고 용량에서 환자들의체중이 12% 이상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주며, 향후 비만치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또한 마운자로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 보호 효과를 입증하는 등 기존 제품의 적응증 확대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했다. 회사는 2025년 전체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여 매출 600억-620억 달러, 주당순이익 21.75-23달러를 제시했다.

최근 발표한 약가 정책 변화도 주가 상승의 중요한 요인이다. 회사는 트럼프 행정부의 약가 인하 요구에 대응하여 유럽 등 선진국시장에서 약가를 인상하는 대신 미국 내 약가를 낮추겠다고 발표했다.

강력한 신약 파이프라인과 핵심 제품들의 지속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2025년에도 견고한 성과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위치와 다양한 치료 영역으로의 포트폴리오 확장이 장기적인 성장 동력이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경쟁 심화와 규제 환경 변화 등의 리스크 요인들도 면밀히 관찰해야 할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사의 혁신적인 신약개발 능력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고려할 때, 헬스케어 섹터의 대표 성장주로서의 지위를 유지할것으로 보인다.

4 . Reddit = 소셜미디어 섹터 강세 속 성장 가속화

2분기에서 놀라운 성장을 보여주었다. 매출이 전년 대비 78% 증가한 5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2022년 이후 가장 빠른 분기별 성장률이다. 특히 주당순이익(EPS)은 0.45달러로 예상치 0.19달러를 크게 상회하며 136.84%의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핵심 성장 동력인 광고 수익은 전년 대비 84% 증가한 4억 6,500만 달러를 달성했다. 이는 기존 광고주들의 투자 확대와 새로운고객 유치가 동시에 이루어진 결과다. 총 활성 광고주 수는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하며 플랫폼의 광고 매력도가 크게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Reddit Answers라는 AI 기반 검색도구의 성장도 주목할 만하다. 2분기에 주간 활성 사용자가 600만명을 기록하여 이전 분기의 100만 명에서 급증했다. 허프만 CEO는 "Reddit은 진정한 검색 목적지가 될 수 있는몇 안 되는 플랫폼 중 하나"라고 강조하며, 검색기능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Reddit의 실적에 대해 일제히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Raymond James가 목표주가를 175달러에서 225달러로, Oppenheimer가 160달러에서 215달러로, JPMorgan이 145달러에서 190달러로각각 상향 조정했다.

이러한 긍정적 평가는 Reddit이 단순한 커뮤니티 플랫폼을 넘어 강력한 디지털 광고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는인식을 반영한다.

5. Cava Group = 실적쇼크와 가이던스 하향에 급락

카바 그룹이 8월 12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실적은 여러 면에서 월스트리트의 기대를 충족하지 못했다. 가장 큰 실망 요소는 매출 성장률의 급격한 둔화였다. 특히 동일점포매출성장률 2.1%는 전년 동기의 강력한 성장세와 극명한 대조를 보였다. 이는 기존 매장들의 성과가 크게 둔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연간 전망 하향 조정은 주가 급락의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회사는 2025년전체 연도 동일점포매출 성장률 전망을 기존 6-8%에서 4-6%로대폭 낮췄다.

브렛 슐만(Brett Schulman) CEO는 "2025년 2분기 동안 우리는 계속해서 시장 점유율을 성장시키고 카테고리를 정의하는 리더십 포지션을 확고히 했다"고 말했지만, 투자자들은 성장 둔화에 우려를 표했다.

단기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카바 그룹의 장기 비전은 변하지 않았다. 회사는 현재 약 400개매장에서 2032년까지 1,000개 매장으로 확장한다는 목표를유지하고 있다.

회사는 또한 자동화 기술에 투자하고 있다. 접시와 볼 배분을 자동화하는 하이펀(Hyphen)의 2,500만 달러 시리즈 B 펀딩 라운드에 참여했다고 발표했다.

주가 급락으로 카바 그룹의 주식은 올해 들어 누적 40% 하락했다. 일부 애널리스트들은목표가를 하향 조정했지만, 장기적 성장 잠재력에 대해서는 여전히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에픽 CP /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1.78 ▼5.50
코스닥 795.50 ▼2.55
코스피200 428.88 ▼0.31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849,000 ▲293,000
비트코인캐시 795,500 ▲5,500
이더리움 6,014,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30,080 ▲170
리플 4,265 ▲8
퀀텀 2,914 ▲2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958,000 ▲383,000
이더리움 6,018,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30,100 ▲200
메탈 1,015 ▲10
리스크 555 ▲3
리플 4,266 ▲9
에이다 1,292 ▲9
스팀 184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900,000 ▲280,000
비트코인캐시 795,500 ▲4,000
이더리움 6,015,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30,060 ▲170
리플 4,265 ▲9
퀀텀 2,866 ▲4
이오타 28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