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21(목)

[21일 마감]코스피, AI 악재 뚫고 3,141선 방어…"흔들리나 무너지지 않는다"

메리츠금융지주 8.3% 급등으로 신고가 행진…석유화학·조선 등 테마주 약진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8-21 16:32:42

[21일 마감]코스피, AI 악재 뚫고 3,141선 방어…"흔들리나 무너지지 않는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국내 증시가 AI 관련 악재와 주도주 차익실현 매물에도 불구하고 선방하며 강한 저항력을 보였다. 개별 이슈로 흔들렸지만 실적 기대감을 바탕으로 한 저가 매수세가 받쳐주면서 무너지지 않는 모습을 연출했다.

21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1.71포인트(0.37%) 상승한 3,141.74로 마감했다. 코스닥은 0.36포인트(0.05%) 하락한 777.24에 거래를 마쳤다.

장 초반 미국 AI 기술주 급락 여파로 국내 증시도 약세를 보였다. 샘 알트만(Sam Altman)의 AI 과열 경고에 이어 MIT 보고서가 'AI 도입 후 5% 정도만 매출 성장 가속'이라는 내용을 담으면서 기술주에 투매가 이어진 것이다. 하지만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낙폭을 회복했고, 팔란티어(-9.8% → -1.1%), 엔비디아(-3.9% → -0.1%) 등 미국 주요 AI 기업들이 반등하면서 한국 증시도 상승 전환했다.

국내에서는 AI 하드웨어 관련주인 HD현대일렉트릭이 2.7% 상승했지만 SK하이닉스는 성과급 갈등 등 악재가 작용하며 4.1% 하락했다. 삼성전자는 0.1% 소폭 상승에 그쳤다.
대신 산업재와 금융주가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한화오션이 5.9% 급등했고, 삼성생명은 7.4% 올랐다. 특히 메리츠금융지주는 추가 자사주 매입·소각 공시(5,514억원 소각, 7,000억원 취득) 발표 후 8.3% 급등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테마별로는 석유화학주가 강세를 보였다. 석유화학 업계가 '석유화학산업 재도약을 위한 자율협약식'을 체결하고 NCC(납사분해시설) 구조조정에 시동을 걸면서 롯데케미칼(7.1%), LG화학(3.4%) 등이 상승했다.

반면 재생에너지주는 부진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풍력·태양광을 "세기의 사기극"이라고 비판하면서 씨에스윈드(-6.8%), HD현대에너지솔루션(-7.1%) 등이 하락했다.

웹툰주는 호재를 받았다. 탑코미디어가 11.2% 급등했는데, 자체 제작 웹툰의 일본 공개 첫날 랭킹 1위를 달성한 것이 부각되면서 대원미디어(3.8%) 등 관련주도 동반 상승했다.

투자 주체별로는 개인이 2,590억원을 순매도했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856억원, 854억원을 순매도했다. 기관은 2,282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뒷받침했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AI반도체, 조선, 방산, 기계, 원전 등 기존 주도주가 개별 이슈를 빌미로 차익실현 매도가 나왔지만 실적 기대가 유효한 만큼 저가 매수도 강하게 유입됐다"며 "주도주를 흔드는 이슈들이 있지만 대내외 불확실성을 소화하는 구간"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주 주요 관심사는 잭슨홀 미팅이다. 22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연설이 예정돼 있어 시장 변동성이 예상된다. 과거 파월 의장의 발언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던 만큼(S&P500 2023년 +0.7%, 2024년 +1.2%), 이번에도 신중한 태도로 시장의 기대를 후퇴시킬지 주목된다.

인구구조와 생산성 변화 속 노동시장, 거시정책이 논의되는 가운데 고용과 AI 관련 어떤 발언이 나올지가 향후 증시 방향을 가늠하는 열쇠가 될 전망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41.74 ▲11.65
코스닥 777.24 ▼0.37
코스피200 424.41 ▲0.75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292,000 ▼310,000
비트코인캐시 774,500 ▼2,000
이더리움 5,967,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9,620 ▼160
리플 4,037 ▼12
퀀텀 3,239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288,000 ▼350,000
이더리움 5,963,000 ▼22,000
이더리움클래식 29,610 ▼200
메탈 1,009 ▼5
리스크 533 ▼3
리플 4,036 ▼16
에이다 1,218 ▼1
스팀 184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280,000 ▼310,000
비트코인캐시 776,500 ▲500
이더리움 5,965,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9,660 ▼140
리플 4,038 ▼12
퀀텀 3,238 ▲14
이오타 27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