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28(목)

피에스케이, 미·중 반도체 갈등의 '숨은 수혜주' 부상

TSMC 2나노 생산라인 중국산 장비 전면 배제...PR Strip 세계 1위 피에스케이에 기회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8-28 12:06:26

피에스케이, 미·중 반도체 갈등의 '숨은 수혜주' 부상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반도체 장비업체 피에스케이가 미국의 대중 반도체 규제 강화로 예상치 못한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TSMC가 2나노 생산라인부터 중국산 장비를 완전히 배제하기로 하면서, PR Strip 장비 분야 세계 1위인 피에스케이가 그 빈자리를 채울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DS투자증권에 따르면 TSMC는 2나노 생산라인부터 중국산 장비를 완전히 배제할 예정이다. 미국 의회가 발의한 반도체 장비법이 'CHIPS Act 지원금을 받은 기업이 중국 정부가 소유·통제하는 기업의 장비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TSMC는 3나노 라인까지는 중국 AMEC의 식각 장비와 맷슨 테크놀로지의 PR Strip 장비를 사용해왔으나, 해당 장비들을 2나노부터는 사용하지 않을 방침이다. 이는 미·중 기술패권 경쟁이 실제 생산라인 차원에서 구체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피에스케이는 PR Strip 장비 분야에서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PR Strip 공정은 Critical Layer와 Non-Critical Layer로 구분되는데, 수율 민감도가 낮은 Non-Critical Layer에서는 Lam Research나 Applied Materials 대비 총소유비용(TCO) 메리트를 가진 맷슨 장비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2나노 공정에서도 Non-Critical Layer의 비용 절감 니즈는 여전히 존재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맷슨의 경쟁사인 피에스케이에게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증권가의 판단이다.

한편, 피에스케이는 3분기에도 견조한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DS투자증권은 3분기 매출액 1167억원(전분기 대비 8% 증가,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 영업이익 246억원(전분기 대비 20% 증가,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 영업이익률 21%)을 전망한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 이외 대부분의 고객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연초 우려 대비 감소폭이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북미 고객사의 투자가 하반기 유의미하게 나타날 전망이며, 국내 메모리 업체도 하반기부터 DRAM 신규 투자가 본격화되고 있다.

국내 파운드리 업체들의 미국 투자 확대도 피에스케이에게는 추가 기회요인이다. 피에스케이는 과거 오스틴 팹 투자 당시에도 장비를 납품한 이력이 있으며, 미국 법인을 보유하고 있어 현지 공급 역량을 갖추고 있다.

최근 300단대 NAND 전환 장비 발주도 지속되고 있어 중장기 성장 모멘텀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DS투자증권 이수림 애널리스트는 "피에스케이는 알고 보면 이런저런 수혜가 많은 기업"이라며 "미·중 갈등에 따른 탈중국화 수혜, 국내외 고객사들의 투자 확대, 차세대 공정 전환 등 복합적인 성장 동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2025년 매출액 성장치를 기존 6%에서 10%로 상향 조정하며, 2026년은 11%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목표주가 2만9,000원과 매수 의견을 유지한다"고 덧붙였다.
반도체 업계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오히려 일부 기업들에게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며 "특히 기술 경쟁력을 갖춘 한국 장비업체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9.82 ▲12.66
코스닥 797.66 ▼4.06
코스피200 432.53 ▲2.2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052,000 ▼445,000
비트코인캐시 776,500 ▼4,000
이더리움 6,348,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30,320 ▼110
리플 4,174 ▼19
퀀텀 4,114 ▲8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009,000 ▼571,000
이더리움 6,350,000 ▼37,000
이더리움클래식 30,350 ▼90
메탈 1,020 ▼4
리스크 543 ▲1
리플 4,176 ▼18
에이다 1,211 ▼3
스팀 18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090,000 ▼450,000
비트코인캐시 776,000 ▼4,500
이더리움 6,355,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30,300 ▼150
리플 4,175 ▼20
퀀텀 4,100 ▲84
이오타 27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