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0.13(월)

글로벌 헬스케어, 관세 우려 걷히며 반등 신호... "4분기 상승 모멘텀 견조"

의약품 관세 유예 합의 잇따라, 학회·실적 발표 앞두고 투심 회복 기대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0-13 10:49:04

글로벌 헬스케어, 관세 우려 걷히며 반등 신호... "4분기 상승 모멘텀 견조"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글로벌 헬스케어 섹터가 올해 최대 하방 리스크였던 의약품 관세 불확실성에서 벗어나며 반등 모멘텀을 되찾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13일 '글로벌 헬스케어; 우려 완화, 상승 모멘텀 견조' 리포트를 통해 의약품 관세 리스크가 완화된 가운데 10월 중순부터 주요 학회와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어 헬스케어 섹터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글로벌 헬스케어 섹터의 가장 큰 하방 압력 요인이었던 의약품 관세 우려가 완화됐다. 화이자는 메디케이드에 공급하는 약물 가격 인하를 수용하고 의약품 관세를 3년간 면제받았다. 아스트라제네카도 약가 인하-관세 유예 합의를 발표했다. 다른 대형 제약사들도 트럼프 행정부와 유사한 합의를 진행하거나 진행될 전망이다.

하헌호 신한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약가 인하로 인한 매출 감소에 비해 관세 유예의 실적 방어 효과가 크다는 판단"이라고 분석했다.
학회 활동과 예정된 실적 발표도 기대를 모은다.
10월 17일부터 세계 3대 암 학회인 유럽종양학회(ESMO)가 개최될 예정이며, 11월 초에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은 ADC 항암제와 비만치료제 학회가 열린다. 10월 말부터 11월 중순까지 주요 헬스케어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어 관세 리스크가 완화된 상황에서 상승 모멘텀을 회복할 전망이다.

비만치료제 시장에서는 경구제에 특화된 스트럭처 테라(GPCR.US)가 '포스트 멧세라'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멧세라 인수에 7개 기업이 관심을 보였고, 세 곳이 경쟁입찰에 참여했다. 화이자가 멧세라를 최대 73억 달러에 인수했으나, 두 기업이 화이자보다 더 높은 금액을 제시해 비만약 후발기업에 높은 관심이 확인됐다.

스트럭처 테라는 경구 비만약을 집중적으로 개발하는 후발주자로, 작년 핵심 약물 GBR-1290의 임상 2a상에서 양호한 체중감량 효과를 보였다. 해당 후보물질은 올해 말 장기간 효능·안정성 데이터(임상 2b상)를 공개할 예정이다. 체내 흡수율이 높고 생산 단가가 낮은 저분자 화합물이라는 점도 비만치료제 시장 진입을 준비하는 빅파마에게는 매력적인 인수 대상으로 꼽히는 이유다.

릴리와 노보의 비만약 경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실적과 경구제에서 릴리의 경쟁력이 이어진다는 분석이다. 미국 최대 PBM 업체 CVS가 젭바운드의 환급을 중단했으나, 위고비 대비 높은 처방이 지속돼 견조한 실적 성장이 가능할 전망이다.

노보의 경구 위고비는 오포글리프론(릴리 경구제)보다 높은 체중감량 효과를 보였다. 다만 오포글리프론은 화학 의약품으로 경구제로 복용 시 펩타이드 약물(경구 위고비)에 비해 흡수율이 높아 릴리의 경쟁력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의료 AI 분야에서는 템퍼스 AI가 신고가 경신에도 추가 상승 여력이 잔존한다는 평가다. 파트너십과 신제품 승인과 함께 트럼프 행정부의 AI를 활용한 소아암·희귀질환 치료 촉진으로 정책적 뒷받침까지 견고하다.

전년 대비 80% 이상 매출 증가와 EBITDA의 흑자 전환이 예상돼 투심과 실적 양쪽에서 상승 모멘텀이 발생하고 있다. 8월부터 주가 상승이 부담이나, 경쟁사와 PSR(주가매출비율) 차이가 크지 않아 밸류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판단이다.

템퍼스 AI는 올해 다양한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사업 영역을 확대했다. 아스트라제네카, 파토스 AI와 종양 데이터를 활용해 멀티모달 모델 구축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계약금 및 수수료로 2억 달러를 수령했다. 4,000개의 기관과 협력해 4천만 명의 환자 데이터를 확보하고 300페타바이트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하 애널리스트는 "관세 불확실성 완화와 함께 주요 학회 및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어 헬스케어 섹터의 상승 모멘텀이 강화될 것"이라며 "비만약과 의료 AI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업들의 성장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549.03 ▼61.57
코스닥 854.21 ▼5.28
코스피200 495.83 ▼11.14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3,325,000 ▼1,176,000
비트코인캐시 812,000 ▼7,000
이더리움 6,231,000 ▼67,000
이더리움클래식 25,180 ▼410
리플 3,870 ▼20
퀀텀 3,110 ▼3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3,424,000 ▼1,076,000
이더리움 6,228,000 ▼68,000
이더리움클래식 25,180 ▼350
메탈 788 ▼9
리스크 365 ▼6
리플 3,866 ▼27
에이다 1,059 ▼16
스팀 14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3,260,000 ▼1,190,000
비트코인캐시 812,000 ▼6,000
이더리움 6,225,000 ▼75,000
이더리움클래식 25,180 ▼390
리플 3,872 ▼22
퀀텀 3,091 ▼58
이오타 23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