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25(금)

경기도, 첨단 환경 감시장비의 이름은 ‘첨단환경G킴이’.

첨단감시장비 선도적 도입․운영으로 산업단지 불법배출 사각지대 해소…

이정훈 CP

2025-06-23 10:56:18

스캐닝 라이다

스캐닝 라이다

[글로벌에픽 이정훈 CP] 경기도가 레이저 빔으로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스캐닝 라이다’, 대기오염원을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 드론 등 첨단감시장비를 통한 과학적 환경관리 체계의 명칭을 지난 3~4월 공모해 ‘첨단환경G(지)킴이’를 최종 선정했다.

‘첨단환경G(지)킴이’는 ‘첨단기술로 환경을 지키는 감시대원’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2023년 9월부터 운영한 경기도의 첨단감시장비를 활용한 과학적 환경관리체계는 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 관리를 위해 ▲전국 최초로 도입해 산업단지 대기오염을 24시간 감시하는 스캐닝 라이다(레이저 빔을 대기 중으로 발사해 30분 이내로 미세먼지를 측정) ▲대기오염원 측정 및 열화상 카메라 드론 ▲환경오염물질 정보관리 종합상황실 구축 등을 지칭한다.

이러한 체계를 통해 경기도는 ▲불법배출 사각지대 해소 ▲데이터 기반 정밀 단속 ▲민원 신속 대응 등 다층적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실제로 2024년 시화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한 시흥지역에서는 스캐닝 라이다 측정 결과를 분석해 미세먼지 고농도 지역 소재 사업장 246개소를 점검해 대기오염방지시설 미가동 등 23건을 적발하고, 드론을 활용한 민원 다발 산업단지 현장점검에서는 대기오염방지시설 훼손 의심사업장 304개소를 점검해 방지시설 훼손․방치 등 57건의 위반사항을 적발했다.

도는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운영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올해 6월에는 스캐닝 라이다 운영 지점을 ▲안산․시흥 반월․시화국가산단 ▲평택 포승국가산단 ▲동두천 동두천일반산단 등 3개 산업단지로 확대 구축했고, 드론 운영반도 기존 2개에서 5개로 대폭 증설했다.

도는 이번 명칭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브랜드 아이덴티티(BI·상표 이미지)를 7월 개발할 예정이다. 이후 차량 스티커, 행정봉투, 안전모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응용디자인(애플리케이션) 등도 제작한다.

김경호 경기도 기후환경관리과장은 “첨단감시장비를 활용한 환경관리체계는 단순한 기술 활용을 넘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환경안전망을 실현하는 핵심 정책”이라며 “정책 브랜드인 ‘첨단환경G킴이’를 중심으로 도민과의 신뢰와 공감대를 넓히겠다”고 말했다.

[글로벌에픽 이정훈 CP / smedail@daum.net]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0.11 ▲9.66
코스닥 808.80 ▼1.09
코스피200 431.40 ▲1.37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45,000 ▼611,000
비트코인캐시 717,500 ▲3,000
이더리움 4,987,000 ▼32,000
이더리움클래식 29,950 ▼320
리플 4,230 ▼48
퀀텀 3,081 ▼3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79,000 ▼667,000
이더리움 4,995,000 ▼34,000
이더리움클래식 29,990 ▼340
메탈 1,072 ▼4
리스크 631 ▼3
리플 4,228 ▼52
에이다 1,096 ▼8
스팀 19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70,000 ▼630,000
비트코인캐시 717,500 ▲2,500
이더리움 4,992,000 ▼33,000
이더리움클래식 29,970 ▼290
리플 4,226 ▼57
퀀텀 3,116 0
이오타 27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