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26(토)

현대차, 2분기 영업익 3,602억원..."관세 폭탄에도 안정적 실적"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미국 HEV 시장 점유율 확대로 실적 방어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7-25 10:11:33

현대차, 2분기 영업익 3,602억원..."관세 폭탄에도 안정적 실적"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현대차가 미국 관세 우려에도 불구하고 2분기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미국에서 하이브리드(HEV) 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확대하며 관세 충격을 상쇄할 수 있는 경쟁력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25일 미래에셋증권이 발표한 현대차 2분기 리뷰에 따르면 영업이익은 3,6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는 컨센서스 3,533억원을 상회하는 수치다. 매출액은 48,28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북미 지역이 여전히 현대차의 핵심 수익원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 HEV 판매가 급증하면서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다. 현대차는 지난해부터 투싼 HEV, 산타페 HEV 등 주요 SUV 모델에 하이브리드 버전을 대거 투입하며 시장 공략에 나섰다.

실제로 미국 SUV-C/D급 HEV 시장에서 현대차의 존재감이 크게 늘어났다. 투싼 HEV는 콤팩트 SUV HEV 부문에서 19% 점유율을 기록하며 3위를 차지했고, 산타페 HEV도 중형 SUV HEV 시장에서 꾸준한 판매량을 보이고 있다.
미국 자동차 전문 평가기관들의 평가에서도 현대차 HEV 모델들이 좋은 점수를 받고 있다. 투싼 HEV는 미국 컨슈머리포트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안전성과 품질 면에서도 경쟁 모델들과 비등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관세 리스크는 여전히 현대차의 최대 변수다.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할 경우 현대차는 상당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현재 현대차는 미국 판매량의 약 52%를 한국에서 생산해 수출하고 있어 관세 영향이 크다.

이에 현대차는 미국 현지 생산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앨라배마 공장에서 연간 약 36만대를 생산하고 있으며, 조지아 신공장이 완공되면 생산능력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2025년에는 미국 현지 생산이 48만대, 2026년에는 53만대로 확대될 계획이다.

관세 부과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현대차의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에셋증권은 25% 관세가 부과될 경우 2025년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4.5% 수준으로 추정했다. 이는 미국 현지 생산 확대와 가격 조정 등을 통해 관세 충격을 상당 부분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전기차 부문에서도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미국에서 전기차 판매가 다소 부진하지만, HEV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현대차에게는 오히려 기회가 되고 있다. 현대차의 HEV 기술력과 라인업이 시장 확대 흐름에 잘 부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대차는 프리미엄 모델 판매 확대를 통해 수익성 개선에도 나서고 있다. 제네시스 브랜드의 미국 시장 안착과 함께 팰리세이드, 텔루라이드 등 대형 SUV 모델들의 인기가 지속되고 있어 평균 판매 가격(ASP)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
김진석 미래에셋증권 애널리스트는 "현대차가 미국에서 HEV 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어 관세 리스크를 상당 부분 상쇄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SUV-C/D급 HEV 모델들의 경쟁력이 검증되면서 안정적인 실적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는 올해 하반기에도 신모델 출시를 통해 시장 공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대형 SUV와 HEV 라인업을 중심으로 한 마케팅 전략이 실적 방어에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6.05 ▲5.60
코스닥 806.95 ▼2.94
코스피200 430.78 ▲0.75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91,000 ▼204,000
비트코인캐시 755,000 ▼5,000
이더리움 5,075,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30,840 ▼150
리플 4,273 ▼6
퀀텀 3,154 ▲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65,000 ▼139,000
이더리움 5,068,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30,790 ▼200
메탈 1,095 0
리스크 637 ▼1
리플 4,271 ▼6
에이다 1,114 ▲2
스팀 20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10,000 ▼170,000
비트코인캐시 754,500 ▼6,000
이더리움 5,07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0,810 ▼180
리플 4,272 ▼8
퀀텀 3,159 0
이오타 28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