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26(토)

한미 무역협상 연기에 코스피 상승폭 반납, AI 관련주는 강세

코스피 3,190.45(+0.21%), 코스닥 809.89(-0.45%)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7-25 06:40:58

한미 무역협상 연기에 코스피 상승폭 반납, AI 관련주는 강세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24일 국내 증시는 미국발 호재에도 불구하고 한미 무역협상 연기 소식으로 제한적 상승에 그쳤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6.75포인트(0.21%) 오른 3,190.45로, 코스닥은 3.69포인트(0.45%) 하락한 809.89로 마감했다.

장 초반 미국과 일본 간 합의 완료 및 미-EU 간 15% 관세 합의 근접 소식, AI Action Plan 공개로 S&P500과 나스닥이 신고가를 경신하며 위험선호 심리가 확산됐다. 이에 힘입어 코스피는 3,200포인트를 돌파하며 강세 출발했으나, 한미 2+2 무역협상 연기 발표로 상승폭을 대부분 반납했다.

8월 1일 25% 관세 발효를 앞두고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상황에서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관세 피해 우려주들이 부진했다. 자동차주인 현대차(-2.0%)와 기아(-1.0%), 반도체주인 삼성전자(-0.6%) 등이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개별 호재주들은 선방했다. SK하이닉스는 2분기 영업이익 9조2,129억원을 기록하며 0.2% 상승했고,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신왕다'와의 배터리 특허침해 소송에서 승소하며 9.4% 급등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GE Vernova의 호실적 발표 여파로 3.2% 올랐다.

특히 AI Action Plan 공개와 미국 전력 관련 기업들의 호실적으로 국내 전력기기주와 원자력주가 강세를 보였다. 효성중공업(+6.0%), LS ELECTRIC(+3.2%), 비에이치아이(+14.3%), 일진전기(+2.9%) 등이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리튬 관련주가 탄산리튬 가격 급등으로 강세를 보였다. 하이드로리튬(+18.2%)과 리튬포어스(+7.4%)가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복제약 부문에서는 삼천당제약이 Novo Nordisk의 비만치료제 'Rybelsus' 복제약 출시를 위한 시험 성공 소식으로 5.6% 올랐다.

한편 다음 주 공개될 세법개정안 일부 내용이 보도되면서 금융주와 지주회사에 대한 경계감이 대두됐다. 상상인증권(-3.7%), 미래에셋증권(-3.9%), 롯데지주(-3.1%), OCI홀딩스(-7.2%) 등 정책 수혜주에서 매물이 출회됐다.

투자주체별로는 개인이 코스피에서 95억원, 코스닥에서 2억원을 순매도했다. 반면 외국인은 코스피에서 74억원, 코스닥에서 3억원을 순매수했고, 기관은 코스피에서 13억원을 순매수했으나 코스닥에서는 2억원을 순매도했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한미 무역협상 연기로 8월 1일 관세 발효에 대한 시간적 압박이 커지면서 불확실성이 확대됐다"며 "다만 AI 관련 정책 발표와 개별 기업들의 호실적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최근 Stargate Project 난항설에 흔들렸던 AI 관련주들이 정책 발표로 투심이 반전되고 있어 관련 섹터의 반등 가능성을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6.05 ▲5.60
코스닥 806.95 ▼2.94
코스피200 430.78 ▲0.75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69,000 ▲126,000
비트코인캐시 760,000 ▲8,000
이더리움 5,075,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30,950 ▲50
리플 4,280 ▼4
퀀텀 3,140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78,000 ▲104,000
이더리움 5,068,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30,960 ▲60
메탈 1,097 ▲2
리스크 640 ▲4
리플 4,279 ▼2
에이다 1,112 ▲1
스팀 200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00,000 ▲230,000
비트코인캐시 761,500 ▲9,500
이더리움 5,07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0,930 ▲40
리플 4,283 ▼1
퀀텀 3,154 ▲80
이오타 28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