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과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차세대 네트워크(6G) 산업기술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추진하게 된다. 주관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와 공동연구기관인 ㈜쏠리드랩스를 비롯해 SKT, KT, LGU+ 등 국내 모든 이동통신사와, 연세대, 한양대 등 대학들을 포함해 총 12개 기관이 참여한다.
㈜쏠리드랩스가 참여하는 이번 과제는 이동통신 기술이 5G에서 5G-Advanced/6G로 발전함에 따라 향후 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이 요구되는 배경에서 추진 된다. 차세대 이동통신에서는 몰입형 확장현실(XR), 메타버스, 완전자율주행 등의 서비스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본 과제에서 ㈜쏠리드랩스는 Upper-mid Band E-MIMO Radio Unit (RU) 개발과 성능평가 및 6G 시연에 참여하는 주요 역할을 맡게 된다. 이번 과제를 통해 Upper-mid Band (7GHz~24GHz) 기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필요한 E-MIMO를 지원하는 256 TRX 이상, 1024 Antenna Element(AE) 이상의 기지국 안테나 빔포밍 모듈 기술과 디지털/아날로그 빔포밍 기술을 더욱 강화하고, 이 확보된 기술들을 바탕으로 상용화 제품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쏠리드랩스 관계자는 “최대 85억원 규모의 정부 예산이 지원되는 이번 과제를 통해 혁신기술개발과 글로벌 표준 확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며, “차세대 이동통신 6G 주도권을 위한 각국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모회사인 ㈜쏠리드가 6G 시대에서도 계속해 글로벌 통신장비시장의 강자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밝혔다.
한편 ㈜쏠리드랩스는 2021년에 Open RAN 등 차세대통신기술 개발을 위해 설립된 연구개발전문 기업이다. ㈜쏠리드는 국내 대표 통신장비 기업으로, 글로벌 이동통신 중계기분야 시장점유율 3위로 평가받고 있으며, 통신장비 국산화 및 세계화를 선도하고 있다.
글로벌에픽 증권팀 박진현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