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02(수)

임창휘 경기도의원, 수자원본부에 수자원관리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문

“수자원 관리를 위해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 새로운 관리방식 도입 필요”

이정훈 CP

2025-02-17 17:57:34

임창휘 경기도의원

임창휘 경기도의원

이미지 확대보기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임창휘 의원은 지난 14일 수자원본부의 업무보고를 받고, "기후위기의 심화와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수자원 관리 정책의 패러다임을 기존의 수질 개선 중심에서 물 공급 확대와 종합적인 수자원 관리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경기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는 2030년대 중반 이후 하루 170만㎥의 공업용수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공급 가능한 용수는 하루 65만㎥에 불과해, 필요량의 50%에도 미치지 못해 물 부족 사태가 우려된다.

이에 대해 임창휘 의원은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면서 도시 지역의 침수 위험이 높아지는 반면, 강수량의 변동성과 가뭄의 빈도가 증가하면서 물 부족 문제가 심화되는 상반된 현상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며, "수자원 관리의 패러다임을 물 공급 확대와 종합적인 수자원 관리로 전환하지 않으면 첨단산업의 경쟁력 확보는 물론, 도민의 생활 안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임창휘 의원은 "물 공급 확대와 종합적 수자원 관리를 위해 수자원본부가 ▲스마트 홍수관리 도입, ▲홍수 방어 인프라 확충, ▲대체 수자원 확보 등의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스마트 홍수관리”는 환경부가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AI 기반 홍수 예보 시스템으로, 기존 예보보다 최대 3시간 빠른 예보를 통해 주민 대피 시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홍수 방어 인프라 확충”은 침수 취약 지역에 대심도 빗물터널을 설치하고, 하수관로 용량 확대 및 지하 방수로 건설 등을 통해 홍수 방어 능력을 강화하는 방안이다.

“대체 수자원 확보”는 하수 재이용수 공급 확대, 해수 담수화 시설 구축, 유출 지하수 활용 등 다양한 대체 수자원을 확보하는 것이다.

아울러 임창휘 의원은 "성공적인 수자원 관리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건설국과 수자원본부로 이원화되어 있는 물 관리를 수자원본부로 통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에픽 이정훈 CP / smedail@daum.net]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75.06 ▼14.59
코스닥 782.17 ▼1.50
코스피200 414.43 ▼1.83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277,000 ▲478,000
비트코인캐시 683,000 ▼2,500
이더리움 3,353,000 ▲22,000
이더리움클래식 22,320 ▲130
리플 2,988 ▲15
퀀텀 2,643 ▲2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264,000 ▲582,000
이더리움 3,353,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22,340 ▲170
메탈 911 ▲7
리스크 514 ▲5
리플 2,989 ▲15
에이다 768 ▲6
스팀 180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390,000 ▲550,000
비트코인캐시 684,500 ▼500
이더리움 3,354,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2,270 ▲60
리플 2,989 ▲15
퀀텀 2,617 0
이오타 21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