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18(화)

결혼정보회사 듀오 "2030 미혼남녀 10명 중 3명 ‘1인 가구’"

이성수 CP

2022-07-12 15:05:00

[글로벌에픽 이성수 기자] 결혼정보회사 듀오(대표 박수경)가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1인 가구’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결혼정보업체 듀오 조사 결과, 2030 미혼남녀는 ‘가족’(63.7%)과 함께 사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혼자 사는 경우’는 10명 중 3명 꼴(29%)로 2위였다. 그 외에는 ‘연인’(5%), ‘친구 등 지인’(1.3%)과 거주했다.

2030 미혼 1인 가구의 자택 형태는 ‘전세’(43.7%)가 가장 많았고, ‘월세’(42.5%)가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반전세’와 ‘자가’는 각각 6.9%를 차지했다.

1인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106.3만원이었다. 구간별로는 ‘50만원 이상~100만원 미만’(35.6%)을 생활비로 지출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 뒤로는 ‘100만원 이상~150만원 미만’(25.3%), ‘50만원 미만’(18.4%) 순이었다.

1인 가구가 혼자 살게 된 이유로는 ‘직장 등 일 문제’(48.3%)가 가장 컸다. 이어 ‘혼자가 편해서’(40.2%), ‘대학 등 학업 문제’(5.7%), ‘가족과의 갈등’(3.4.%) 등을 이유로 들었다.

혼자 사는 것의 장점으로는 대다수가 ‘자유로운 생활’(76.3%)을 꼽았다. 그 외에는 ‘독립심 강화’(8.0%), ‘직장, 학교 등과 가까이 거주 가능’(7%), ‘가족과의 갈등이 줄어듦’(4.7%)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반면 혼자 사는 것의 단점으로는 과반이 ‘생활비가 많이 듦’(57%)을 꼽았다. 이어 ‘외로움’(16%), ‘위급 상황에 대처가 어려움’(15%), ‘집안일을 전담해야 함’(10%) 등을 택했다.

한편, 1인 가구의 결혼에 대한 의사는 1인 가구가 아닌 응답자에 비해 미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인 응답자는 결혼에 대해 ‘하고 싶다’ 37.9%, ‘보통이다’ 39.1%, ‘하고 싶지 않다’ 22.9%로 답한 반면, 혼자 살고 있지 않은 이들의 응답은 각각 46.0%, 27.2%, 26.8%였다.

이번 조사는 설문조사 업체 마크로밀엠브레인을 통해 지난 6월 28일부터 30일까지 2030 미혼남녀 총 300명(남성 150명·여성 1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신뢰수준은 95%에 표본오차 ±5.66%p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953.62 ▼135.63
코스닥 878.70 ▼23.97
코스피200 556.45 ▼20.20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4,083,000 ▲1,632,000
비트코인캐시 723,500 ▲18,000
이더리움 4,485,000 ▲65,000
이더리움클래식 21,310 ▲140
리플 3,208 ▲49
퀀텀 2,530 ▲2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3,980,000 ▲1,626,000
이더리움 4,485,000 ▲72,000
이더리움클래식 21,300 ▲130
메탈 618 ▲6
리스크 340 ▲1
리플 3,207 ▲50
에이다 689 ▲8
스팀 113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4,090,000 ▲1,600,000
비트코인캐시 722,500 ▲16,500
이더리움 4,487,000 ▲67,000
이더리움클래식 21,330 ▲170
리플 3,212 ▲55
퀀텀 2,561 0
이오타 18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