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0.14(화)

상가임대차, 계약갱신과 권리금 보호… 법원의 최신 판단은

이수환 CP

2025-09-26 14:37:49

김한수 대표변호사 / 법무법인 성지파트너스

김한수 대표변호사 / 법무법인 성지파트너스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에픽 이수환 CP] 경기 침체와 임대료 부담이 겹치면서 상가 임대차 분쟁이 크게 늘고 있다. 특히 임차인이 권리금을 회수하지 못하거나 계약갱신 요구가 거절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상가임대차보호법의 적용 범위와 법원의 판단 기준이 중요한 쟁점으로 부상했다.

현행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는 임차인에게 계약갱신 요구권을 보장하고 있으며, 임대인은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이를 거절할 수 없다. 갱신 요구권은 최대 10년까지 인정되며, 이는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영업 안정성을 지키기 위한 핵심 제도다. 그러나 임대인이 “건물을 직접 사용하겠다”거나 “임차인이 차임을 연체했다”는 사유를 들어 갱신을 거절하는 사례가 늘면서 법적 다툼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권리금 보호도 중요한 분쟁 요소다. 같은 법 제10조의4는 임차인이 신규 임차인으로부터 권리금을 회수할 기회를 보장하고, 임대인이 이를 부당하게 방해할 경우 손해배상 책임을 지도록 규정한다. 실제 판례에서도 임대인이 신규 임차인의 입점을 막아 권리금 회수를 방해한 경우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했다.

임대료 인상 문제도 꾸준히 불거진다. 상가임대차보호법 제11조는 차임과 보증금의 증액 한도를 5%로 제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기 상황이나 지역 개발을 이유로 과도하게 임대료를 인상하려는 사례가 적지 않아, 임차인 보호 장치의 실효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법무법인 성지파트너스 김한수 대표변호사는 “상가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의 생존권을 지키는 장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임대인의 권리 주장과 충돌하며 다양한 분쟁이 발생합니다. 임차인 입장에서는 계약갱신 요구, 권리금 회수, 차임 인상 한도 등에 대해 법적 근거를 명확히 이해하고 대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라고 강조했다.

상가 임대차는 단순한 계약 문제가 아니라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생존과 직결된 사안이다. 법적 권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불합리한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584.55 ▼26.05
코스닥 860.49 ▲1.00
코스피200 501.87 ▼5.10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1,937,000 ▼405,000
비트코인캐시 812,000 ▼5,500
이더리움 6,318,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6,300 ▲110
리플 3,916 ▼5
퀀텀 3,17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1,991,000 ▼568,000
이더리움 6,314,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26,280 ▲70
메탈 824 ▼3
리스크 379 0
리플 3,917 ▼4
에이다 1,079 ▼3
스팀 15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1,820,000 ▼490,000
비트코인캐시 810,000 ▼7,000
이더리움 6,315,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6,260 ▲60
리플 3,916 ▼8
퀀텀 3,118 0
이오타 24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