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27(목)

하나자산운용 '나스닥100 채권혼합 ETF', 2개월 만에 1,000억 돌파

채권혼합형 ETF 역대 최단기록… 업계 최저 보수 0.05%로 연금투자자 몰려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1-27 09:20:25

하나자산운용 '나스닥100 채권혼합 ETF', 2개월 만에 1,000억 돌파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하나자산운용의 '2세대 채권혼합 ETF'가 상장 2개월 만에 순자산 1,000억 원을 돌파하며 국내 채권혼합형 ETF 시장에서 역대 최단기간 기록을 세웠다.

하나자산운용(대표이사 김태우)은 27일 대표적인 '2세대 채권혼합ETF'인 1Q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액티브 ETF의 순자산이 상장 후 약 2개월 만에 1,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국내에 상장된 모든 채권혼합형 ETF 중 역대 가장 빠른 기록이다.

1Q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액티브 ETF는 2023년 11월 16일 개정된 최신 퇴직연금감독규정을 반영해 나스닥100 비중을 최대 50%까지 편입하는 '2세대 채권혼합ETF'다. 나머지 50%는 미국 단기채권에 투자하며, 퇴직연금(DC, IRP) 및 개인연금 계좌에서 100% 투자가 가능한 안전자산에 해당한다.

이 상품은 퇴직연금 계좌에서 적극적으로 나스닥100 비중을 확대해 기대 수익률을 높이는 전략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퇴직연금 계좌는 규정상 전체 자산의 30%는 채권혼합형 ETF, 예적금, 채권 등 안전자산에 투자하고, 나머지 70%까지만 주식 등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다.
규정에 따라 퇴직연금 계좌에서 안전자산 30% 내에서 '1Q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액티브'를 편입하고, 위험자산 70% 내에서 국내 상장된 나스닥100 ETF 중 최저보수인 '1Q 미국나스닥100'(총보수 연 0.0055%)을 편입하면,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최대 85%까지 나스닥100에 투자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퇴직연금 계좌의 안전자산 30%에서 주식 비중 확대를 노리는 투자자뿐만 아니라, 최근 변동성 장세에서 채권혼합형의 꾸준하고 안정적인 수익률을 추구하는 투자 수요가 맞물리며 이 ETF로 자금이 유입됐다는 분석이다.

특히 이 상품의 총보수는 연 0.05%로 국내 상장된 모든 채권혼합형 ETF 중 최저 수준이다. 이는 타사의 동일유형 미국대표지수(S&P500, 나스닥100) 채권혼합 ETF(총보수 0.15%)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퇴직연금 계좌를 통한 장기 투자에 더욱 적합하다는 평가다. 이를 바탕으로 해당 ETF는 상장일인 9월 30일 개인 순매수 55억 원을 기록하며 국내 상장된 모든 채권혼합형 ETF 중 상장 첫날 개인 순매수 역대 1위에 올랐다.

하나자산운용은 올해 1Q 미국S&P500, 1Q 미국S&P500미국채혼합50액티브, 1Q 미국나스닥100, 1Q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액티브를 상장하며 연금투자자를 위한 미국 대표지수 ETF 시리즈를 완성했다. 이 중 1Q 미국S&P500미국채혼합50액티브 ETF는 2세대 S&P500 채권혼합 ETF 중 최초로 순자산 1,000억 원을 돌파하는 등 퇴직연금 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한 ETF로 자리잡았다.

김태우 하나자산운용 대표는 "1Q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 ETF는 미국 테크와 미국 단기국채에 한 번의 투자로 분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금투자에 최적화된 상품"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장기투자에서 저보수가 수익률 상승에 미치는 영향이 절대적인 만큼 앞으로도 미국 대표지수 유형 4종은 투자자들을 위해 업계 최저 수준의 보수를 유지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하나자산운용은 연금투자자들의 기대 수익률 향상을 위해 상품 공급자로서의 역할에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나자산운용 '나스닥100 채권혼합 ETF', 2개월 만에 1,000억 돌파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06.05 ▲45.18
코스닥 882.55 ▲5.23
코스피200 566.56 ▲7.19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549,000 ▲435,000
비트코인캐시 811,000 ▼3,000
이더리움 4,539,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1,110 ▲30
리플 3,319 0
퀀텀 2,388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700,000 ▲457,000
이더리움 4,53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1,110 ▼20
메탈 625 0
리스크 264 0
리플 3,317 ▼2
에이다 652 ▲2
스팀 113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570,000 ▲500,000
비트코인캐시 812,000 ▼2,000
이더리움 4,535,000 0
이더리움클래식 21,070 ▼20
리플 3,320 ▲1
퀀텀 2,398 0
이오타 17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