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6.16(월)

LG유플러스, "아직 시작도 안했다"...담당 애널리스트가 주목하는 이유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6-11 10:59:16

LG유플러스, "아직 시작도 안했다"...담당 애널리스트가 주목하는 이유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LG유플러스가 올해 들어 26% 상승하며 통신업종 내 1위를 기록했지만, 이는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이어진 본격적인 상승의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신증권은 11일 LG유플러스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만7000원을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김회재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LG유플러스의 연초 이후 주가 상승률이 26%로 통신업종 중 1위를 차지하고 지수 대비로도 6% 아웃퍼폼했지만, 이는 여전히 2013년부터 2018년 상승의 초기 모습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LG유플러스는 2010년 3사 합병에 따른 염가매수차익 발생 후 3년간 상각이 끝난 2013년 5000억원대 영업이익을 달성하고 배당을 재개했다. 이후 연평균 10% 수준의 이익 증가와 배당 상승이 이어지면서 주가는 2013년 1만원 수준에서 2018년 9월 1만8300원까지 상승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당시 주가 상승의 동력은 이익 개선, 배당 증가 및 외국인 매수였으며, 외국인 비중은 2013년 20%대에서 2018년 49% 한도소진까지 두 배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상황도 과거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2023년부터 2024년 이익 역성장을 겪은 후 2025년 영업이익이 1조원대로 복귀할 전망이다. 영업이익은 1조4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주환원 정책도 크게 확대된다. 자사주 포함 총주주환원 규모는 3조1000억원에서 3조8000억원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외국인 비중도 2024년 말 35.7%에서 올해 6월 36.9%로 1.2%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무선 성장률이 통신 3사 중 가장 높았다는 것이다. LG유플러스 3.4%, KT 2.2%, SK텔레콤 1.9%를 기록했다. 향후 5년간 영업이익 성장률도 연평균 10%로 전망되며, 배당과 자사주 포함 총주주환원 규모도 향후 5년간 연평균 1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6월부터 8월까지 다양한 주주환원 이벤트도 예정되어 있다. 기본 배당성향 40%에 당기순이익의 0%에서 20%까지 자사주 취득 및 소각이 더해진다. 최소 주당배당금 650원과 2조8000억원은 2025년 예상 당기순이익의 45%에 해당한다.

6월 중에는 보유 자사주 678만주 전량 소각이 전망된다. 853억원 규모로 시가총액의 1.6%에 해당한다. 8월부터 연말까지는 추가 자사주 취득 및 소각으로 300억원에서 1000억원 규모가 예상된다.

총주주환원율을 50% 기준으로 할 경우 2025년 총주주환원은 3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0% 증가하며 수익률은 5.4%가 된다. 60% 기준으로는 3조8000억원으로 35% 증가하며 수익률 6.6%를 기록할 전망이다.

2분기 실적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업이익은 2조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할 전망이다. SK텔레콤 유심사태에 대한 반사이익도 일부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목표주가는 2025년 예상 주당순이익 1436원에 PER 12배를 적용해 산출했다. 최근 5년 통신업 평균 10배 대비 20% 할증을 적용한 것이다. 1분기 호실적 달성과 3년 만에 1조원대 영업이익 복귀, 주주환원 규모 증가 전망을 반영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917.87 ▲23.25
코스닥 773.26 ▲4.40
코스피200 390.29 ▲2.99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230,000 ▲244,000
비트코인캐시 626,500 ▼9,000
이더리움 3,549,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3,210 ▲50
리플 3,007 ▲4
퀀텀 2,814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287,000 ▲156,000
이더리움 3,549,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3,190 ▼10
메탈 967 ▼5
리스크 568 ▼1
리플 3,006 ▲2
에이다 884 ▲4
스팀 17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230,000 ▲300,000
비트코인캐시 626,500 ▼10,000
이더리움 3,549,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3,200 ▲20
리플 3,006 ▲5
퀀텀 2,780 0
이오타 23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