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05(화)

美 고용쇼크에 국채금리 급락…"9월 Fed 금리인하 확률 80%로 급등"

신한투증 "작년 8월과 흡사하지만 추가 낙폭은 절반 수준 그칠 것"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8-04 08:56:33

美 고용쇼크에 국채금리 급락…"9월 Fed 금리인하 확률 80%로 급등"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신한투자증권의 김찬희 애널리스트는 4일 발표한 리포트에서 지난 금요일 미국 7월 고용지표 발표 이후 미국 국채 금리가 단기물 중심으로 급락하며 불 스티프닝이 전개됐다고 분석했다.

김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미국 국채 2년 금리와 10년 금리는 각각 25bp, 14bp 속락한 3.69%, 4.23%를 기록했다. 이는 7월 FOMC 회의 이후 하방경직적이었던 움직임이 한순간 반전된 것으로 보인다. 7월 FOMC 회의에서 2명의 금리 인하 소수의견에도 불구하고 관세발 인플레이션을 경계하는 위원들과 양분된 의견이 재확인되면서 40% 이하로 후퇴했던 9월 금리 인하 확률이 80%로 급반등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금번 고용지표 쇼크는 1년 전 8월 2일과 흡사하다"며 "당시 실업률이 4.3%까지 오르며 경기침체 판단 지표 중 하나인 샴의 법칙을 충족했다는 우려에 국채 2년 금리가 하루에 30bp 가까이 속락했고, 이후 9월 FOMC 회의에서 50bp 인하가 결정되기까지 30bp 추가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당시와 현재 상황 간 두 가지 차이점을 지적했다.
첫째, 당시 연방기금 목표금리는 5.25~5.50%로 중립금리 대비 2%p 이상 긴축적이었던 반면, 현재는 이미 기준금리가 100bp 낮아진 상황이라는 점이다. 둘째, 1년 넘게 3%대에 머물던 인플레이션이 2%대로 안정되기 시작했던 당시와 달리, 현재 인플레이션은 2%대 중후반으로 작년 대비 낮지만 향후 관세에 따른 상승분이 불확실한 상황이라는 점이다.

김 애널리스트는 "유의미한 고용지표 둔화로 당사의 기존 전망대로 9월 FOMC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졌으나 상방 요인이 공존한만큼 작년 8월 대비 시장 금리 추가 낙폭은 절반 이하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채권시장에 대해서는 "국고채 금리 역시 대외 금리에 연동돼 단기 강세 압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고채 3년과 10년이 단기적으로 각각 2.4%, 2.7%선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하지만, 한-미 무역 협상 타결과 금융불균형 우려 등 금리 하락을 제약할 요인이 공존한다"고 분석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6.96 ▲29.21
코스닥 793.91 ▲9.85
코스피200 428.46 ▲3.67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99,000 ▲135,000
비트코인캐시 796,500 ▼3,500
이더리움 5,134,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9,070 ▼20
리플 4,275 ▲8
퀀텀 2,96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00,000 ▲100,000
이더리움 5,136,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9,060 ▼50
메탈 1,027 ▲1
리스크 580 ▼1
리플 4,274 ▲12
에이다 1,051 0
스팀 187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10,000 ▲20,000
비트코인캐시 796,500 ▼2,500
이더리움 5,13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9,050 ▼30
리플 4,271 ▲5
퀀텀 2,911 0
이오타 25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