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05(화)

삼성중공업, "4분기 가장 무서울 조선소 될 것"

2분기 컨센서스 상회 실적에 FLNG 고수익 구조 가세...4분기 영업이익률 10% 돌파 전망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8-04 09:54:10

삼성중공업, "4분기 가장 무서울 조선소 될 것"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삼성중공업이 본격적인 수익성 개선 궤도에 진입했다.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2조 6,830억원, 영업이익 2,048억원을 기록해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돌았다고 4일 발표했다.

IBK투자증권은 삼성중공업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만 7,000원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2분기 실적에서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0%, 전분기 대비 7.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6.7%, 전분기 대비 66.4% 급증하며 영업이익률 7.6%를 달성했다. 이는 시장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실적 개선의 핵심은 고수익성 FLNG(부유식 LNG 생산설비) 건조량 증가에 있다. 공정 개선으로 Cedar FLNG의 건조 일정이 한 달가량 앞당겨지면서 조업일수가 늘어났고, 이에 따라 매출과 이익이 동반 상승했다. 특히 세전이익 증가폭이 눈에 띈다. 러시아 프로젝트 계약에서 환율 하락으로 인한 선물환 평가이익 2,000억원가량이 발생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삼성중공업의 진짜 성장 스토리는 4분기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3분기에는 현재 건조 중인 2기의 FLNG 중 첫 번째 호선인 ZLNG가 이렉션 공정을 거치면서 일시적으로 매출 증가세가 둔화될 예정이다. 하지만 Cedar FLNG가 6월 스틸커팅을 시작하면서 매출 인식이 증가해 ZLNG 매출 하락분을 상쇄할 것으로 예상된다.

4분기에는 두 가지 호재가 동시에 작용한다. 해양 부문에서는 ZLNG의 이렉션 공정이 마무리되면서 본격적인 고수익성 FLNG 2기 건조 체제에 돌입한다. 상선 부문에서는 2022년 이전 수주한 적자성 물량이 대부분 해소되는 동시에 2023년 이후 수주한 고마진 LNG선과 컨테이너선 비중이 크게 늘어난다.

IBK투자증권은 삼성중공업의 4분기 영업이익률을 10.5%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컨센서스 8.8%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오지훈 IBK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4분기 가장 무서울 조선소가 될 것"이라며 "가파른 믹스 개선이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2022년 이전 수주한 적자~저수익성 물량이 대부분 해소됨과 동시에 2023년 이후 수주한 고마진 LNG선, 컨테이너선 비중이 증가하면서 본격적인 고수익성 FLNG 2기 건조 체제에 돌입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FLNG 수주 전망도 밝다. 정치적 리스크로 최종 계약이 지연되고 있지만, 이미 부분 계약 후 건조에 들어간 모잠비크 Coral #2 FLNG는 9월 내, 미국 Delfin FLNG는 10월 말에서 11월 초 사이 최종 계약이 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선종 믹스 개선도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22년 이전 수주한 저수익성 물량 비중이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2023년 이후 수주한 고마진 선박들의 건조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카타르 이외 LNG선과 컨테이너선, LPG선 등 고수익성 선종의 비중이 2026년 이후 본격 증가할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의 올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9.7% 증가한 10조 7,990억원, 영업이익은 67.8% 증가한 8,44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에는 매출액 12조 7,800억원, 영업이익 1조 5,230억원으로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9 ▲28.04
코스닥 793.22 ▲9.16
코스피200 428.11 ▲3.3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00,000 ▲40,000
비트코인캐시 796,500 ▼2,500
이더리움 5,130,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9,020 ▼110
리플 4,267 ▲7
퀀텀 2,96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76,000 ▼20,000
이더리움 5,128,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9,050 ▼60
메탈 1,027 ▲1
리스크 581 0
리플 4,268 ▲9
에이다 1,049 ▲1
스팀 187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60,000 ▼80,000
비트코인캐시 796,500 ▼3,500
이더리움 5,13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9,050 ▼30
리플 4,267 ▲11
퀀텀 2,911 0
이오타 25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