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05(화)

풍산, 일시적 악재에도 '성장엔 이상 무'... K2 전차 2차 계약이 새 동력

2분기 영업익 936억원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 하회... "밀리터리 수출 구조적 성장은 변함없어"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8-04 10:40:26

풍산, 일시적 악재에도 '성장엔 이상 무'... K2 전차 2차 계약이 새 동력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풍산이 2분기 일회성 요인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지만, 구조적 성장 스토리는 여전히 견고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K2 전차 추가 수주와 밀리터리 수출 확대가 중장기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전망된다.

풍산은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1조 2,940억원, 영업이익 936억원을 기록해 영업이익률 7.2%를 달성했다고 4일 발표했다. 유진투자증권은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15만 8,000원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이번 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하회한 것은 일회성 요인들이 겹쳤기 때문이다. 퇴직금 충당금 반영으로 150억원, 환율 변동에 따른 채권 평가손실 50억원, 미국 관세 부과로 인한 영향 50억원 등이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구조적 성장 동력에는 변화가 없다는 분석이다. 밀리터리향 수출에는 차질이 없었고, 8월 1일 현대로템이 폴란드와 65억 달러 규모의 K2 전차 2차 이행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풍산과의 탄약 추가 계약도 곧 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관세 영향은 소구경 수출 물량에 부과된 것으로, 가격 전가를 통해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스포츠탄 주요 수입국인 세르비아(35% 관세), 보스니아(30% 관세), 브라질(50% 관세) 등이 한국보다 높은 관세를 부담하고 있어 가격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또한 미국 내 탄약 제조사들도 피복과 탄피 생산에 필요한 구리 반제품에 대해 232조에 따른 50% 관세, 아연과 납에 대한 국가별 관세 부담으로 비용 증가가 불가피해 미국 내 탄약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

이유진 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2분기 시장 기대치보다 영업이익이 하회하며 실적 발표 당일 주가가 16% 급락했지만, 구조적으로 늘어나는 밀리터리 향 수출과는 관계없는 일회적인 요소가 많았기 때문에 매수 기회라고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풍산의 방산 부문 성장세는 지속되고 있다. 방산 수출 매출액은 1분기 853억원에서 2분기 1,987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내수 부문도 1분기 1,183억원에서 2분기 1,467억원으로 늘어났다.

우리나라 방산업체들의 자주포와 전차 추가 수주 파이프라인도 여전히 기대된다. 특히 폴란드의 K2 전차 2차 계약 체결은 풍산의 탄약 공급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풍산의 올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11.3% 증가한 5조 680억원, 영업이익은 9.2% 증가한 3,54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에는 매출액 5조 4,350억원, 영업이익 4,780억원으로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구리 등 원자재 가격 상승 부담에도 불구하고 고부가가치 방산 제품 비중 확대와 수출 물량 증가가 수익성 개선을 이끌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밀리터리 부문의 구조적 성장은 풍산의 중장기 실적 개선을 뒷받침하는 핵심 동력이 될 전망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14 ▲27.39
코스닥 793.35 ▲9.29
코스피200 428.16 ▲3.37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41,000 ▲84,000
비트코인캐시 796,500 ▼3,500
이더리움 5,131,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9,060 ▼50
리플 4,274 ▲16
퀀텀 2,96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73,000 ▲67,000
이더리움 5,134,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9,080 ▼30
메탈 1,027 ▲1
리스크 581 0
리플 4,273 ▲12
에이다 1,051 ▲2
스팀 187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10,000 ▲60,000
비트코인캐시 796,500 ▼3,000
이더리움 5,13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9,050 ▼30
리플 4,270 ▲9
퀀텀 2,911 0
이오타 25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