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0.02(목)

고영, 수술로봇 사업 순항 중…하반기 실적 개선 본격화

뇌수술 로봇 일본 승인 임박, 올해 10~11월 허가 획득 전망…본업도 3분기부터 회복세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0-01 09:15:41

고영, 수술로봇 사업 순항 중…하반기 실적 개선 본격화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검사장비 전문기업 고영이 뇌수술용 의료로봇 사업의 본격 성과와 함께 본업 회복세가 맞물리며 순항 국면에 진입했다.

신한투자증권은 1일 고영에 대해 올해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획득 이후 30% 이상 하락한 주가가 과거 5년 평균 주가순자산비율(PBR) 수준까지 조정되며 선반영 부담이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올해 10~11월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 승인이 예상되며, 내년부터 한국, 미국, 일본에서 30대 수술로봇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주가 하단을 높여갈 것으로 전망했다.

고영의 뇌수술용 의료로봇은 올해 9월 국내 세브란스병원과 아산병원에 추가 납품되어 총 12대가 설치될 예정이다. 미국 시장은 올해 7월 1대가 출하되어 활용 중이며, 연내 5대, 3년 내 100대 납품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본 시장 진출도 가시화되고 있다. PMDA 승인이 올해 10월에서 11월 사이 예상되며, 사업 가시화는 내년부터 시작될 전망이다. 회사는 2026년 한국, 미국, 일본을 포함해 총 30대 판매를 목표로 설정했다.
뇌수술용 로봇의 적응증은 뇌전증, 파킨슨병, 강박장애, 뇌종양, 뇌척수액순환장애, 대뇌출혈 등으로 다양하다. 국내에서는 지난 6월 누적 기준으로 뇌심부자극술(DBS), 뇌전증 검사(sEEG), 생검(Biopsy) 등 총 150례 이상의 수술이 진행됐다.

최근 2년간 자동차 전장 수요 둔화로 매출 부진을 겪었던 본업도 올해 3분기부터 미주 지역 중심으로 주문 회복세가 관측되고 있다. 미국 관세 부과에도 미국 내 직접적인 경쟁자가 많지 않아 영향이 제한적이며, 중국과 인도의 전자제품 제조서비스(EMS) 제조업 수요가 확대되면서 관세 영향을 어느 정도 상쇄하고 있다.

반도체 패키징 검사장비 부문은 올해 대만 지사를 설립하며 영업 확장 단계에 있다. 고영은 최근 신사업에 필요한 연구개발과 투자를 마무리하며 비용 감축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구개발비가 최근 3년간 분기당 110~120억원 수준에서 올해 1분기 92억원, 2분기 81억원으로 축소됐다.

신한투자증권은 하반기 영업환경 개선 영향으로 2025년 하반기 매출액이 전년 대비 17.6%, 영업이익률이 7.8%포인트 각각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승환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고영의 비용구조는 고정비적 성격이 강해 매출이 성장하면 수익성이 개선되기 쉬운 구조"라며 "최근 신사업에 필요한 연구개발과 투자가 마무리되어 비용 감축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이 53배로 높은 편이나, 실적 개선이 동반되며 고평가가 해소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영은 2025년 매출액 2,172억원, 영업이익 115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7.2%, 245.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6년에는 매출액 2,502억원, 영업이익 266억원으로 실적 개선세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55.83 ▲31.23
코스닥 845.34 ▲3.35
코스피200 479.37 ▲5.34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422,000 ▲698,000
비트코인캐시 830,000 ▲1,500
이더리움 6,130,000 ▲28,000
이더리움클래식 26,990 ▲20
리플 4,169 ▼5
퀀텀 3,145 ▲1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297,000 ▲457,000
이더리움 6,132,000 ▲26,000
이더리움클래식 27,050 ▲70
메탈 921 ▲1
리스크 427 0
리플 4,172 ▼1
에이다 1,191 ▲3
스팀 17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310,000 ▲570,000
비트코인캐시 829,500 ▲500
이더리움 6,130,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7,000 ▲80
리플 4,168 ▼5
퀀텀 3,149 0
이오타 24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