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광역시청 전경
이번에 발표한 과제에는 300만 인천 시민의 숙원 해결과 미래성장 동력 확보, 인천 중심의 광역교통망 확충, 시민 행복을 위한 의료·문화 인프라 확충, 원도심 균형발전과 환경문제 해결 등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인천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들을 담았다.
인천시는 이번에 발굴한 공약과제가 대통령 선거 후보자의 공약으로 채택되어, 향후 새로운 정부 출범 후 국정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시민, 경제단체, 지역 정치권 등과 적극 협조해 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교통인프라 확충 ▲미래성장 동력 확보 ▲도시개발·해양항만 ▲의료·문화·관광 ▲환경·범시민 숙원사업 해결 등 5개 분야에 걸쳐 22개 공약과제와 53개 세부사업을 마련했으며, 지방분권 강화를 위한 제도개선 과제 6건도 포함됐다.
선정된 10대 핵심과제는 ▲강화남단 경제자유구역 지정 ▲영종~강화 평화도로 건설 ▲인천발 KTX 인천공항 연결 ▲수도권매립지 4자 합의 이행 ▲제3연륙교 통행료 무료화 ▲경인전철,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도심 내 군사시설 이전을 위한 재정지원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구축 ▲인천형 출생·주거정책 ‘천원주택’ 전국 확산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D·E노선 조속 추진 등이다.
인천이 글로벌 톱텐 시티로 도약하기 위한 ‘강화남단 지역의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첫 번째 핵심과제로 선정됐다. 강화남단 지역은 향후 영종~강화 평화도로가 건설될 경우 인천국제공항과 20분 내 연결될 수 있는 지역으로, 첨단전략산업 투자유치를 위한 핵심 거점이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기존 송도·영종·청라 경제자유구역의 첨단산업 인프라와 연계되어 높은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또, 인천발 KTX의 인천공항 연결과 GTX D·E노선의 조속 추진, 제3연륙교 통행료 무료화는 인천과 전국·수도권 주요 거점을 빠르게 연결함으로써 국가 경쟁력 강화와 인천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도권매립지 문제 해결을 통해 인천 시민의 일방적 피해를 종식하고, 경인전철 및 경인고속도로의 조속한 지하화를 통해 분절된 도시 기능을 회복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었다.
이 외에도 수도권 규제로 많은 제약을 받아온 강화·옹진 지역의 정주 여건 개선을 강력히 요구하고, 인천해사법원과 인천해양대학 신설, 경인아라뱃길 활성화를 국가계획사업으로 추진하는 등 글로벌 해양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다양한 과제도 포함했다.
인천시는 지방행정에 대한 중앙정부의 각종 규제와 중앙집권적 행정문화가 지역발전을 저해하고 있다고 보고, 지방자치권 확대와 재정분권 및 재정 협치 등을 적극 요구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와 기능이 중복되고 지방행정 자율성을 저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양항만, 환경 등 6대 분야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지방 이관도 제안했다.
유정복 시장은 “인천시는 대한민국의 성장, 혁신, 미래의 아이콘으로 발돋움하고 있으며 인천의 발전이 곧 국가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라며 “인천시의 핵심 현안들이 차기 정부의 국정과제로 채택되어 사업 추진의 동력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인천시는 앞으로 각 정당에 지역 현안을 설명하고, 대선 후보자에게 공약과제를 전달해 이번 지역공약이 실제로 채택되고 사업 추진의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방침이다.
[글로벌에픽 김민성 CP / Kmmmm112@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